Skip to main content

다리를 지나는 트럭

직관적으로 큐를 사용한 풀이

import java.util.ArrayDeque;

class Solution {
public int solution(int bridge_length, int weight, int[] truck_weights) {
int time = 0;
ArrayDeque<Integer> bridge = new ArrayDeque<>(bridge_length);
int bridgeUsage = 0;
int truckIndex = 0;

for (int i = 0; i < bridge_length; i++) {
bridge.add(0);
}

while (truckIndex < truck_weights.length || bridgeUsage > 0) {
time++;
bridgeUsage -= bridge.poll();
int docSize = 0;
if (truckIndex < truck_weights.length
&& truck_weights[truckIndex] + bridgeUsage <= weight) {
docSize = truck_weights[truckIndex++];
bridgeUsage += docSize;
}
bridge.add(docSize);
}

return time;
}
}

풀이 1

  • 시간 복잡도: O(bridge_length×truck_weights.length)O(\verb|bridge_length|\times\verb|truck_weights.length|)
    최악의 경우 트럭이 무거워서 다리를 1대씩 건너가면 다리 길이와 트럭 대수를 곱한 만큼 루프를 돈다.
  • 공간 복잡도: O(bridge_length)O(\verb|bridge_length|)

while문에서 time 변수를 1씩 증가시키고 bridge의 원소를 하나씩 빼고 넣는 것을 통해 최종 시간을 계산하였다.
직관적으로 트럭이 한 칸씩 움직이는 것을 떠올릴 수 있다.
무거운 트럭이 매우 긴 다리를 건너게 되면 다리를 지나는 동안 불필요하게 시간을 보낸다는 점이 아쉽다.

트럭이 다리를 건너는 시점을 저장하여 루프 횟수를 줄인 풀이

class Solution {
public int solution(int bridge_length, int weight, int[] truck_weights) {
int time = 0;
int[] timeCrossed = new int[truck_weights.length];
int bridgeUsage = 0;
int bridgeIndex = 0;
int truckIndex = 0;

while (truckIndex < truck_weights.length) {
if (truck_weights[truckIndex] + bridgeUsage <= weight) {
bridgeUsage += truck_weights[truckIndex];
timeCrossed[truckIndex++] = ++time + bridge_length;

if (timeCrossed[bridgeIndex] == time) {
bridgeUsage -= truck_weights[bridgeIndex++];
}
} else {
bridgeUsage -= truck_weights[bridgeIndex];
time = timeCrossed[bridgeIndex++];

if (truck_weights[truckIndex] + bridgeUsage <= weight) {
bridgeUsage += truck_weights[truckIndex];
timeCrossed[truckIndex++] = time + bridge_length;
}
}
}

return timeCrossed[truck_weights.length - 1];
}
}

풀이 2

  • 시간 복잡도: O(truck_weights.length)O(\verb|truck_weights.length|)
    2개의 인덱스가 1씩 증가한다고 해도 트럭 개수의 2배만큼만 루프를 돌면 된다.
  • 공간 복잡도: O(truck_weights.length)O(\verb|truck_weights.length|)

더 이상 다리에 트럭이 진입하지 못하는 상황에는 time 변수를 1씩 증가시키는게 아니라 다리의 맨 앞에 있는 트럭이 지나가는 시간을 바로 time에 넣도록 했다.
timeCrossed 배열은 해당 인덱스의 트럭이 다리를 건너는 시점을 담고 있는데 이를 이용하면 중간 결과도 확인할 수 있다.
bridgeIndextruckIndex 사이에 해당하는 트럭들이 다리에 존재하는 것인데 두 인덱스가 이동하면서 다리는 개념상 선입선출 구조, 큐와 같이 동작하게 된다.
프로그래머스 채점 결과로 봤을 때 확실히 앞의 풀이보다 속도면에서 큰 이득이 있었다.

시간을 배열로 저장하지 않고 큐나 데크를 사용해도 가장 마지막에 저장되는 값이 원하는 답이 되므로 큰 차이 없이 구현 가능하다. 중간 결과가 필요 없고 트럭 대수가 많은 경우에는 큐나 데크를 사용하여 공간복잡도를 트럭 대수가 아닌 다리 길이에 맞출 수 있다. (O(bridge_length)O(\verb|bridge_length|))

ArrayDeque를 사용하여 다리를 건너는 시간을 저장한 풀이

import java.util.ArrayDeque;

class Solution {
public int solution(int bridge_length, int weight, int[] truck_weights) {
int time = 0;
ArrayDeque<Integer> bridge = new ArrayDeque<>(bridge_length);
int bridgeUsage = 0;
int bridgeIndex = 0;
int truckIndex = 0;

while (truckIndex < truck_weights.length) {
if (truck_weights[truckIndex] + bridgeUsage <= weight) {
bridgeUsage += truck_weights[truckIndex++];
bridge.add(++time + bridge_length);

if (bridge.getFirst() == time) {
bridgeUsage -= truck_weights[bridgeIndex++];
bridge.poll();
}
} else {
bridgeUsage -= truck_weights[bridgeIndex++];
time = bridge.poll();

if (truck_weights[truckIndex] + bridgeUsage <= weight) {
bridgeUsage += truck_weights[truckIndex++];
bridge.add(time + bridge_length);
}
}
}

return bridge.getLast();
}
}

풀이 3

  • 시간 복잡도: O(truck_weights.length)O(\verb|truck_weights.length|)
  • 공간 복잡도: O(bridge_length)O(\verb|bridge_length|)

위에 있는 풀이에서 배열 부분을 데크로 바꿔서 구현하였다.
프로그래머스에서 채점한 결과로 보면 시간, 공간적으로 크게 이득을 보는 부분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테스트케이스에 따라 메모리 측면에서는 이득을 보는 경우가 있으나 속도면에서는 확실히 이득이 없었다.
주어진 테스트케이스에서는 컬렉션의 오버헤드가 더 크게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.

References